OS4 [Linux] 리눅스 파일, 폴더 권한 변경방법(chmod 사용법 & 예제) 리눅스(Linux)에서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거나 소유권을 변경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합니다. 오늘은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확인하는 방법과 권한을 변경하는 방법 소유권 변경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눅스(Linux) 권한 확인방법 리눅스(Linux) 서버에 접속 후 ll 명령어를 입력하면 폴더와 파일의 권한과 소유권자가 누구인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Linux) 권한 설명 리눅스의 권한은 r(read)읽기/ w(write)쓰기 /x(execute)실행으로 나뉩니다. 그리고 파일, 폴더 권한을 확인해 보면 rwxrwxrwx 이런식으로 총 9글자의 스펠링이 보입니다. 이 9가지의 스펠링을 3자리씩 잘라서 권한이 적용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맨 처음 3글자 .. 2021. 8. 9. [Linux] 리눅스 파일 폴더 복사 방법(file / directory copy) cp -r 리눅스(Linux) 파일, 폴더 복사(copy) 리눅스에서 파일, 폴더 복사는 자루 일어나는 행위입니다. 서버에서 설정 파일을 수정하기 전에 기존 파일을 복사한 후 설정파일 소스를 변경합니다. 그 이유는 설정파일의 소스코드를 수정중 오류가 발생하거나 현재 설정에서 기존 설정으로 변경을 진행하여야 하는데 이전 설정 코드가 생각나지 않아 rollback 할 수 없는 상황이 오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파일을 복사해 두고 시작하는게 좋습니다. - 리눅스 파일 복사 cp /home/testFile.txt /home1/testFile1.txt - 리눅스 폴더 복사 cp -r /home/testFolder /home1/testFolder1 추천글 [Linux] 리눅스 파일, 폴더 삭제방법(rm -rf 파일, 폴더) fi.. 2021. 7. 21. [Linux] 리눅스 파일 폴더 삭제방법(rm -rf 파일 / 폴더) file / folder remove 리눅스 파일, 폴더 삭제 리눅스에서 개발 혹은 서버 설치 및 작업을 하다 보면 FTP를 통해서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삭제를 진행하는데 오늘은 FTP를 통해서 파일, 폴더를 삭제하는것이 아닌 리눅스 서버에서 직접 명령어로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 파일 삭제 현재 위치에있는 파일을 삭제하는 방법입니다. 1 rm testFile cs ● 삭제 의향을 묻지 않고 파일 바로 삭제 -f가 붙을 경우 삭제 의사를 묻지 않고 바로 파일을 삭제 합니다. 1 rm -f testFile cs ● 폴더 삭제 -r이 붙으면 폴더를 삭제 할 수 있습니다. 1 rm -r testFolder cs ● 특정 형식의 파일 삭제 특정 파일을 삭제 할 수 있습니다 *의 경우 모든이라는 뜻이며 아래의 명령어의 경우 .t.. 2021. 7. 16. [Linux] 리눅스 폴더 생성 방법 make directory & 폴더 권한 설정 Linux(리눅스) 폴더 생성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폴더를 생성하여 해당 폴더에 파일을 올리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Tomcat, Webserver 등을 업로드하여 사용합니다. 리눅스 명령어인 mkdir의 경우 make directory의 약자이며 현재 위치에 폴더를 생성합니다. - 리눅스에서 현재 위치에 폴더 생성 리눅스(linux) 현재 접속해있는 위치에서 폴더를 생성 'testFolder'라는 폴더를 생성. 1 mkdir testFolder cs - 리눅스에서 현재 위치에 폴더 생성 후 새로 생성된 폴더 하위에 폴더 생성 리눅스(linux) 현재 위치에서 'test1'이라는 폴더를 생성 후 'test1' 폴더 하위에 'test2'라는 폴더 생성. 1 mkdir -p test1/t.. 2021. 7. 16. 이전 1 다음